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github
- DB
- php
- Algorithm
- Java
- MacOS
- data structure
- computer
- DS
- DoM
- MIPS
- react
- for
- Pipelining
- javascript
- instruction
- Linux
- architecture
- function
- DATAPATH
- XML
- web
- Class
- python
- system
- control
- mysql
- CSS
- while
- html
- Today
- Total
목록Linux (14)
YYYEJI

↓↓↓ zsh을 다운받기 전에 brew를 설치해주세요 ↓↓↓ https://yyyeji.tistory.com/38?category=1291895 [Homebrew] homebrew 다운받기 homebrew 란 ? ? ? 여러가지 소프트웨어들을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게 도와주는 기능입니다. https://brew.sh/index_ko Homebrew The Missing Package Manager for macOS (or Linux). brew.sh homebrew 설치하기.. yyyeji.tistory.com zsh을 다운받기 위해서 아래 명령어를 Terminal에 써주세요. $ brew install zsh // zsh 설치 $ which zsh // zsh 경로 확인 zsh을 제거하고 싶을 땐 아래..

homebrew 란 ? ? ? 여러가지 소프트웨어들을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게 도와주는 기능입니다. https://brew.sh/index_ko Homebrew The Missing Package Manager for macOS (or Linux). brew.sh homebrew 설치하기 밑에 있는 코드를 copy해서 Terminal에 paste 해주면 됩니다. $ /bin/bash -c "$(curl -fsSL https://raw.githubusercontent.com/Homebrew/install/HEAD/install.sh)" 설치가 끝나면 brew 명령어를 통해 잘 설치됐는지 확인합니다. $ brew 설치를 하는데 ERROR가 뜬다면 $ brew doctor doctor를 이용해서 진단해보세요!..

su, sudo는 시스템 관리자를 위한 명령어 입니다. su는 현재 계정에서 다른 사용자로 로그인할 때 사용을 합니다 su = su root su - 다른 계정 로그인 + 로그인 계정의 쉘 환경 사용 sudo는 슈퍼유저의 보안 권한으로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게 해주는 명령어입니다. Password는 computer 계정 ID 입니다. 이렇게 명령어를 통해 root로 로그인하면 됩니다! ◡̈

파일의 속성으로 접근 권한이 있습니다. 접근 권한은 파일을 읽고 쓰고 실행 수 있는 사용자의 파일을 보호하는 기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소유권(Ownership)이란? 소유자와 소유 그룹 허가권(Permission)이란? read/write/excute의 권한 자세히 알아보아요 ୧ °‿° ୨ 접근 권한의 종류 파일과 디렉터리의 접근 권한 3가지 권한 파일 디렉터리 read 파일을 읽거나 복사가 가능 ls 명령으로 디렉터리 목록을 확인할 수 있다. ( ls 명령은 실행 권한이 있어야 사용할 수 있다.) write 파일의 수정 / 이동 / 삭제가 가능 ( but 디렉토리의 쓰기 권한이 있어야 가능 ) 파일을 생성 / 삭제 가능 execute 파일 실행이 가능 (쉘 스크립트 or 실행 파일의 경우) cd 명..

리눅스는 사용자가 여러 명이기 때문에 여러 명의 사용자가 같은 시스템을 작업하더라도 다른 사람의 파일을 복사해 가거나 마음대로 수정하고 삭제할 수 없도록 보안 기능을 제공합니다. 즉, 사용자는 자신의 파일과 디렉터리 중에서 다른 사용자가 접근을 구분하여 접근 권한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파일에 대해서 알아보아요 ୧ °‿° ୨ 파일의 속성 번호 속성 값 의미 1 - 파일의 종류( -: 일반 파일, d: 디렉토리 ) 2 rw-r--r-- 파일을 읽고 쓰고 실행할 수 있는 접근 권한 표시 3 1 하드 링크의 개수 4 root 파일 소유자의 로그인 ID 5 wheel 파일 소유자의 그룹 이름 6 664 파일의 크기(바이트 단위) 7 Jul 11 10:23 파일이 마지막으로 수정된 날짜와 시간 8 /etc/hos..

쉘(Shell)이란? 쉘은 사용자와 리눅스 커널 사이에서 중간자 역할을 수행을 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쉘(Shell)의 기능은? 1. 명령어 해석기 기능 (사용자와 커널 사이에서 명령을 해석하여 전달하는 해석기(interpreter)와 (translator) 기능) 2. 프로그래밍 기능 (쉘 자체 내에 프로그래밍 기능이 있어서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다.) 3. 사용자 환경 설정 기능 (사용자 환경을 설정할 수 있도록 초기화 파일 기능을 제공) 쉘(Shell)의 종류 dd쉘들은 일반적으로 명령을 입력하고 실행하는 기능이 비슷하지만 에일리어스 설정이라 초기화 파일, 스크립트를 작성하는 문법 등에 차이가 조금 있습니다. 1. Bourne Shell (본 쉘) - 단순하고 처리 속도가 빨라서 많이 사용되었으며..

리눅스를 사용하게 되면 패키지를 관리해야 하는데 관리를 쉽게 도와주는 tool이 있습니다. apt-get / get(advanced package tool) - 데미안 or Ubuntu 에서 사용합니다. yum(Hello dog updater, modified) - 레드헷 or CentOS에서 사용합니다. 동작 RedHat or CentOS Debian or Ubuntu 패키지 설치 yum install 패키지명 apt install 패키지명 apt-get install 패키지명 패키지 제거 yum remove 패키지명 apt remove 패키지명 apt-get remove 패키지명 업데이트 확인 yum check-update apt-get -s upgrade (패키지 업그레이드) apt-get upda..

리눅스도 다른 운영체제처럼 파일을 작성하거나 수정하기 위한 편집기가 필요합니다. 다양한 편집기 중에서 오늘은 vi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vim/vi에 대해 조금만 더 설명을 해드리겠습니다. vi은 명령이 매우 단순하여 빠르게 편집할 수 있어서 널리 사용되는 화면 단위 편집기입니다. 글자를 입력하고 수정하는 방법이 일반 GUI 편집기와는 다르기 때문에 다소 불편하실 수 있습니다. 밑에 나오는 설명을 통해서 조금이라도 vim/vi에 익숙해졌으면 좋겠습니다. vim/vi 주요 모드에는 3가지가 있습니다. 입력 모드(insert mode) - 입력한 키를 내용으로 처리하는 모드 시각 모드(visual mode) - 입력한 키를 명령으로 해석하는 모드 마지막 행 모드(command mo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