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CSS
- for
- react
- DB
- MacOS
- architecture
- instruction
- php
- data structure
- DS
- function
- Linux
- Class
- MIPS
- Java
- computer
- system
- Pipelining
- mysql
- control
- Algorithm
- while
- XML
- github
- html
- DATAPATH
- web
- python
- DoM
- javascript
Archives
- Today
- Total
YYYEJI
[Linux] 리눅스 파일과 디렉토리 본문
728x90
시스템과 관련된 정보와 하드웨어 같은 장치를 모두 파일로 관리하기 때문에 파일과 디렉터리를 이해하는 것은 중요하다. 파일은 관련 있는 정보들의 집합이고 리눅스에서는 파일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디렉터리를 사용하는데 디렉터리는 계층 구조를 가지고 있다.
< 파일의 종류 >
- 일반 파일 (Regular file)
-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주로 사용
- 각종 텍스트 파일, 실행 파일, 이미지 파일 등
- 텍스트 파일은 내용을 확인하는 명령으로 내용 확인이 가능하며, 문서 편집기를 사용하여 내용을 보거나 편집할 수 있음.
- 실행 파일이나 이미지 파일의 경우 데이터가 바이너리 형태로 저장되어 바이너리 파일이라고 하는데 바이너리 파일은 특정 응용 프로그램이 있어야 내용을 확인할 수 있음.
- 디렉터리 (Directory)
- 리눅스에서는 디렉터리도 파일로 취급
- 해당 디렉터리에 저장된 파일이나 하위 디렉터리에 대한 정보가 저장됨.
- 명령어 더 알아보기 - https://yyyeji.tistory.com/8
- 심벌릭 링크 (Symbolic link)
- 원본 파일을 대신하도록 원본 파일을 다른 파일명으로 지정한 것
- 윈도우의 바로가기 파일과 비슷
- 장치 파일 (Device file)
- 하드디스크나 키보드 같은 각종 장치도 파일로 취급
- 리눅스 시스템에 부착된 장치를 관리하기 위한 특수 파일
< 디렉터리 계층 구조 >
트리 구조란?
리눅스에서 파일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디렉터리를 계층적으로 구성하는 구조
루트 디렉터리란?
계층적인 구조에서 모든 디렉터리의 출발점
최상단에 루트 디렉터리(/)가 있고,
그 아래에 bin, dev, kernel, devices, boot, var, tmp, export 등 하부 디렉터리(서브 디렉터리)가 존재한다.
< 디렉터리의 주요 기능 >
디렉터리 | 기능 |
---|---|
dev | 장치 파일이 담긴 디렉터리이다. |
home | 사용자 홈 디렉터리가 생성되는 디렉터리이다. |
root | root 계정의 홈 디렉터리이다. |
usr | 기본 실행 파일과 이라브리러 파일, 헤더 파일 등 많은 파일이 있다. |
boot | 부팅에 필요한 커널 파일을 가지고 있다. |
etc | 리눅스 설정을 위한 각종 파일을 가지고 있다. |
proc | 프로세스 정보 등 커널 관련 정보가 저장되는 디렉터리이다. |
run | 실행 중인 서비스와 관련된 파일이 저장된다. |
srv | FTP나 Web 등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의 데이터가 저장된다. |
tmp | 세스템 사용 중에 발생하는 임시 데이터가 저장된다. |
var | 시스템 운영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나 로그 등 내용이 자주 바뀌는 파일이 주로 저장된다. |
- 작업 디렉토리(Working directory or Current directory) - 현재 사용 중인 디렉토리
- 홈 디렉토리(Home derectory) - 각 사용자에게 할당된 디렉토리로 처음 사용자 계정을 만들 때 지정되는 디렉토리
< 절대 경로명과 상대 경로명 >
- 경로명(Path name) - 파일 시스템에서 디렉터리 계층 구조에 있는 특정 파일이나 디렉터리의 위치
- 절대 경로명
- 반드시 /로 시작
- 루트 디렉터리부터 시작하여 특정 파일이나 디렉터리의 위치까지 이동하면서 거치게 되는 모든 중간 디렉터리의 이름을 표시
- 특정 위치를 가리키는 절대 경로명은 항상 동일
- 상대 경로명
- / 이외의 문자로 시작
- 현재 디렉터리를 기준으로 서브 디렉터리로 내려가면 그냥 서브 디렉터리명을 추가
- 현재 디렉터리르 기준으로 상위 디렉터리로 가려면 .. 를 추가
- 상대 경로명은 현재 디렉터리가 어디냐에 따라 달라짐.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리눅스 기본 명령어-2 (0) | 2022.07.17 |
---|---|
[Linux] 리눅스 기본 명령어-1 (0) | 2022.07.17 |
[Linux] 리눅스란? 리눅스 이해하기 (0) | 2022.07.17 |
[Docker] docker 명령어 정리 (0) | 2022.07.14 |
[Docker] MacOS에서 Docker 시작하기 (0) | 2022.07.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