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DB
- system
- web
- XML
- mysql
- python
- Algorithm
- while
- architecture
- html
- react
- for
- DS
- computer
- function
- Class
- MacOS
- php
- DoM
- control
- data structure
- javascript
- github
- CSS
- MIPS
- instruction
- Pipelining
- DATAPATH
- Linux
- Java
- Today
- Total
YYYEJI
[Linux] 파일접근 권한 명령어 본문
파일의 속성으로 접근 권한이 있습니다.
접근 권한은 파일을 읽고 쓰고 실행 수 있는 사용자의 파일을 보호하는 기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소유권(Ownership)이란?
소유자와 소유 그룹
허가권(Permission)이란?
read/write/excute의 권한
자세히 알아보아요 ୧ °‿° ୨
접근 권한의 종류
파일과 디렉터리의 접근 권한 3가지
권한 | 파일 | 디렉터리 |
read | 파일을 읽거나 복사가 가능 | ls 명령으로 디렉터리 목록을 확인할 수 있다. ( ls 명령은 실행 권한이 있어야 사용할 수 있다.) |
write | 파일의 수정 / 이동 / 삭제가 가능 ( but 디렉토리의 쓰기 권한이 있어야 가능 ) |
파일을 생성 / 삭제 가능 |
execute | 파일 실행이 가능 (쉘 스크립트 or 실행 파일의 경우) | cd 명령을 사용할 수 있다. 파일을 디렉터리로 이동하거나 복사할 수 있다. |
접근 권한 표기 방법
R(r) - Read 권한
W(w) - Write 권한
X(x) - Execute 권한
ls -al 명령을 입력했을 때 가장 먼저 뜨는 항목을 보면
-은 파일의 종류를 나타냅니다.
( -는 파일, d는 디렉토리 )
그렇기 때문에 접근 권한과는 관계가 없습니다 ! ! !
따라서 실제 접근 권한은 rw-r--r--입니다 .
사용자 카테고리별로 세 문자씩 한 묶음으로 표기한 모양입니다.
하나씩 살펴보면
소유자 (User) → rw-
그룹 (Group) → r--
기타 사용자 (Other) → r--
의 권한을 갖습니다.
다양한 접근 권한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접근 권한 | 의미 |
rwxr-xr-x | 소유자 - 읽기/쓰기/수행, 그룹 - 읽기/수행, 나머지 사용자 - 수행 |
r-xr-xr-x | 소유자 - 읽기/수행, 그룹 - 읽기/수행, 나머지 사용자 - 읽기/수행 |
rw------- | 소유자 - 읽기/쓰기 , 그룹 - X, 나머지 사용자 - X |
rw-rw-rw- | 소유자 - 읽기/쓰기, 그룹 - 읽기/쓰기, 나머지 사용자 - 읽기/쓰기 |
rwxrwxrwx | 소유자 - 읽기/쓰기/수행, 그룹 - 읽기/쓰기/수행, 나머지 사용자 - 읽기/쓰기/수행 |
rwx------ | 소유자 - 읽기/쓰기/수행, 그룹 - X, 나머지 사용자 - X |
r-------- | 소유자 - 읽기, 그룹 - X, 나머지 사용자 - X |
지금부터는 접근 권한 변경을 해보겠습니다.
접근 권한 변경
아래 명령어를 통해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접근 권한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 chmod // change mode
파일 접근 권한을 변경하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습니다.
Symbolic mode와 Umask command 입니다.
하나씩 살펴봅시다!
Symbolic mode로 파일 접근 권한 변경하기
$ chmod u+x list.txt
↳ u(user) + x(execute) => list.txt 파일 user한테 실행 권한을 주겠다는 명령입니다.
$ chmod g-w+x list.txt
↳ g(group) - w(write) + x(execute) ⇒ user가 속한 group한테 쓰기 권한 빼고 실행 권한을 주겠다는 명령입니다.
$ chmod o+w list.txt
↳ o(other) + w(write) ⇒ other한테 쓰기 권한을 주겠다는 명령입니다.
Umask command로 파일 접근 권한 변경하기
새로 만들어진 파일 또는 디렉토리 권한을 어떻게 설정할지 제어하는 마스크 설정입니다.
파일의 기본허가권 - 666, rw-rw-rw-
디렉토리의 기본허가권 - 777, rwxrwxrwx
Chown 명령어 알아보기
파일이나 디렉터리 소유자 및 소유 그룹을 변경하는 명령어입니다.
$ chown user1:group1 test.txt
Chgrp 명령어 알아보기
파일이나 디렉토리 소유 그룹을 변경하는 명령어 입니다.
$ chgrp group2 test.txt
chown, chgrp 명령어는 시스템 관리자를 위한 명령어로 User가 사용할 일은 거의 없다고 보면 됩니다.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Homebrew] 맥(macOS)에서 homebrew 설치하기 (0) | 2022.08.04 |
---|---|
[Linux] 리눅스에서 루트(root)권한 얻는 방법 (0) | 2022.07.23 |
[Linux] 파일의 속성 정리 (0) | 2022.07.23 |
[Linux] 쉘(Shell)의 기능과 종류 (0) | 2022.07.23 |
[Linux] 리눅스에서 패키치 설치하기 (0) | 2022.07.22 |